2025년 4월, '국토부 실거래가'에서 서울 종로구의 부동산 시장을 깊이 들여다보며 계급도와 매매가 상승이 기대되는 아파트를 정리해봤어요.
종로구 아파트 실거래가를 토대로 동별 시세 순위를 매겨보고, 최근 6개월(2024년 10월 ~ 2025년 4월) 동안의 거래량과 매매가 증가율을 분석했는데요.
종로구에서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큰 아파트를 찾으신다면 이 글이 꽤 유익할 거예요!
1. 종로구 동별 평균 실거래가와 평당 단가 순위
종로구 각 동의 아파트 시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평균 실거래가와 평당 단가(1평 = 3.3㎡)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리했어요.
데이터는 2024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실거래가를 활용했는데요.
동별 순위표

평창동과 내수동이 고가 단지로 상위권에 올랐어요. 도심 접근성과 프리미엄 위치 덕분이죠.
반면, 창신동과 숭인동은 중저가 단지가 많아 평당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답니다.
2. 동별 상위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가 상승률 분석
최근 6개월(2024년 9월 18일 ~ 2025년 3월 18일) 동안 종로구 각 동에서 거래량과 매매가 증가율이 돋보이는 상위 아파트를 살펴봤어요.
1가, 2가 등 단위 동은 통합해서 분석했답니다.
1)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거래량과 고가 거래에서 독보적인 강세를 보였어요.
분석: 신축 프리미엄과 서대문역 접근성이 시장을 이끌고 있네요.
2) 평동

경희궁자이(3단지): 중대형 평형으로 평동 거래를 사실상 독점했어요.
분석: 안정적인 수요와 뛰어난 교통 여건이 돋보이죠.
3) 교북동

경희궁자이(4단지): 소형 평형 중심으로 안정적인 거래를 유지했어요.
분석: 실수요층이 꾸준히 찾는 지역이랍니다.
4) 무악동

인왕산아이파크: 거래량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경희궁롯데캐슬은 신축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네요.
분석: 중저가와 신축 수요가 조화를 이루고 있어요.
5)내수동

경희궁의아침3단지: 고가 중대형 거래가 활발하고, 소형 단지도 투자 수요로 주목받고 있죠.
분석: 도심 프리미엄과 다양한 수요층이 공존해요.
6) 사직동

광화문스페이스본(106동): 거래를 주도하며 고가 단지로 자리 잡았어요.
분석: 광화문역 근접성이 큰 장점으로 작용하죠.
7) 명륜동

아남1: 학군과 역세권 강점으로 상위권에 올랐답니다.
분석: 실수요층이 두터운 지역이에요.
8) 숭인동

종로청계힐스테이트: 중형 거래가 안정적이고, 소형 저가 단지도 활발하네요.
분석: 다양한 가격대가 수요를 보완하고 있어요.
9) 창신동

창신쌍용2: 중저가로 거래량에서 선두를 달렸어요.
분석: 안정적인 실수요와 투자 잠재력이 돋보이죠.
10) 익선동

현대뜨레비앙: 소형 저가 단지로 거래를 주도했어요.
분석: 저가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답니다.
11) 평창동

롯데캐슬로잔: 고가 단지로 시장을 이끌고 있네요.
분석: 신축과 조용한 주거 환경이 상승을 뒷받침해요.
3. 종로구 투자 전략: 어디를 선택할까요?
평창동(롯데캐슬로잔), 내수동(경희궁의아침3단지) - 상승률 6%, 신축 호재로 단기 수익 가능성이 높아요.
안정적 투자
무악동(인왕산아이파크), 창신동(창신쌍용2) - 창신동 투자처로 실수요와 안정성이 돋보이죠.
교육 중심
명륜동(아남1), 내수동(경희궁의아침4단지) - 명륜동 학군과 도심 위치로 실거주와 투자 모두 적합해요.
4. 종로구 부동산 투자, 어디를 주목할까요?
매매가 상승이 기대되는 상위 10개 아파트를 꼽아봤어요.
1) 롯데캐슬로잔 (평창동)
평균 매매가: 224,875만 원 | 상승률: 6% | 거래: 8건
평창동 신축으로 고급 설계와 조용한 환경이 매력적이죠.
학군: 평창초등학교(우수 공립), 세검정중학교(평판 좋음) 근접. 학원가는 작지만 질 높은 수요가 있답니다.
2) 경희궁의아침3단지 (내수동)
평균 매매가: 235,000만 원 | 상승률: 6% | 거래: 4건
내수동 고가 단지로 경희궁 프리미엄이 돋보여요.
학군: 효제초등학교(전통 명문), 경복고등학교(최상위 고교) 인근. 도심 학군으로 수요가 풍부하죠.
3) 경희궁자이(2단지) (홍파동)
평균 매매가: 207,040만 원 | 상승률: 5% | 거래: 62건
홍파동 거래량 1위, 서대문역 접근성이 강점이랍니다.
학군: 홍연초등학교(우수 초등), 경기상고(전통 명문) 가까이 있어 학군이 안정적이랍니다
4) 경희궁롯데캐슬 (무악동)
평균 매매가: 141,800만 원 | 상승률: 6% | 거래: 8건
신축 호재로 상승세가 두드러져요.
학군: 무악초등학교(지역 명문), 중앙여고(우수 여고) 근처라 학군 수요가 탄탄하죠.
5) 광화문스페이스본(106동) (사직동)
평균 매매가: 209,818만 원 | 상승률: 6% | 거래: 11건
광화문 역세권으로 도심 고급 주거 수요가 높아요.
학군: 매동초등학교, 대신고등학교
6) 경희궁자이(3단지) (평동)
평균 매매가: 181,292만 원 | 상승률: 5% | 거래: 38건
중대형 신축으로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하죠.
학군: 홍연초, 경기상고 인근.
7) 인왕산아이파크 (무악동)
평균 매매가: 127,791만 원 | 상승률: 5% | 거래: 43건
무악동 실수요로 거래량이 풍부해요.
학군: 무악초, 중앙고 근처.
8) 경희궁의아침4단지 (내수동)
평균 매매가: 191,500만 원 | 상승률: 5% | 거래: 4건
학군과 도심 프리미엄으로 주목받고 있답니다.
학군: 효제초, 경복고 인근.
9) 종로센트레빌 (숭인동)
평균 매매가: 101,533만 원 | 상승률: 4% | 거래: 15건
숭인동 중저가로 상승 가능성이 엿보여요.
학군: 숭인초, 경신고 근접.
10) 아남1 (명륜동)
평균 매매가: 119,208만 원 | 상승률: 6% | 거래: 12건
명륜동 학군과 역세권으로 실수요가 두터워요.
학군: 혜화초, 경신중고, 서울과학고 인근.
종로구는 신축 호재, 도심 투자 매력, 학군지 정보가 어우러진 지역이에요.
투자 목표에 따라 고수익, 안정성, 교육 중심 단지를 골라보세요.
2025년에도 매매가 상승 예상이 유력한 종로구, 놓치지 마세요!
'부동산 재태크 무일푼에서 건물주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평구 부동산 계급도 완전정리 – 동별 시세 & 투자 포인트 TOP10 (2) | 2025.03.31 |
---|---|
강남3구·용산 매물, 경매시장 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후폭풍 (0) | 2025.03.30 |
집수리 비용 최대 1200만원, 서울시 지원 사업 완벽 정리! (0) | 2025.03.28 |
마포구 부동산 계급도 완전정리 – 동별 시세 & 투자 포인트 TOP10 (2) | 2025.03.28 |
강동구 부동산 계급도 완전정리 – 동별 시세 & 투자 포인트 TOP10 (0) | 2025.03.27 |